src="https://pagead2.googlesyndication.com/pagead/js/adsbygoogle.js"> '1만iu' 태그의 글 목록

1만iu 2

골다공증과 비타민A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아래에 있는 글보고 이게 무슨 관련이 있나 싶어서 한번 데이터를 찾아보았다. 그런데 의외로 데이터가 있더라고? 07년도 리뷰논문 Vitamin A: Is It a Risk Factor for Osteoporosis and Bone Fracture? (인용수 72, IF 5.7) 메타분석까지는 아닌게 그냥 여러 논문을 다 종합해둔 논문이랑 좀더 크게 보기 좋아서 해당 리뷰논문을 선정함 일단 닥치고 결론부터 보자. 비타민a 섭취와 뼈밀도 or 골절과의 상관관계 부작용을 보인 결과가 5건 (A항목) 관계없음을 보인 결과가 9건 (B항목) 오히려 보호하는 효과를 보인 결과가 4건 (C항목) 단기 임상 실험에서는 영향 없음으로 결과가 나옴. 저 임상 논문들 까지도 다 뒤져보고 싶지만 저도 그 정도로 시간이 많진 ..

비타민D 총론 (작용점 적정농도기준 중독부작용 결핍부작용*

비타민 D의 혈중 적정 농도 혈중 비타민 D는 25(0H)D와 1,25(0H)₂D 형태로 순환합니다. 체내에서 생성(80~90%)되거나 식이로 섭취된(10~20%)(영갤은_반대) 비타민 D의 총체적인 상태를 나타내는 25(0H)D는 대부분 비타민 D 결합단백질과 결합하여 순환하고 반감기는 2주입니다. 반면, 1,25(0H)₂D는 활성형 비타민으로 반감기는 15시간이며 칼슘 항상성 유지와 뼈 대사에 직접적인 역할을 합니다. 1,25(0H)₂D는 비타민 D 부족이 있는 경우라도 부갑상선 작용과 혈중 칼슘,인에 따라 정상을 유지하거나 오히려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체내 비타민 D 상태를 나타내기에는 부적절 합니다. # 1,25(0H)₂D는 반감기가 짧고(15시간),체내 부갑상선호르몬이나 칼슘,인과 밀..